[사회속여성] 패션이란 이름아래 정당화된 여성의 족쇄, 하이힐?
[사회속여성] 패션이란 이름아래 정당화된 여성의 족쇄, 하이힐?
  • 이민정 기자
  • 승인 2010.08.28 17: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이힐. 직역하면 ‘높은 굽’이라는 뜻을 가진 이 단어는, 오늘날 대부분의 여성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올 단어가 아닐지 싶다. 높게는 20cm이상의 굽을 가진 이 구두의 지위는, 현대사회에서 가히 ‘마력적’이라 해도 부족하지 않을 정도다. 하지만 그 구두가 지닌 매스큘리즘적 의미와 발에 전해지는 심한 무리를 주목한다면 과연 이전과 같은 눈으로 하이힐을 바라볼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하이힐의 역사는 그 의미를 좁히면 15세기 중세 유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지금의 모양과는 달리 그 당시에는 바닥 가운데에 통굽이 위치한 모양인 ‘초핀(choppin)’을 착용했는데, 길거리에 널린 오물들을 피하기 위한 것이 시초였다. 그러다 프랑스 왕실에 시집간 카트린 데 메디치(Catherine de Medici)가 결혼식에 키가 커 보이기 위해 하이힐을 신었고, 그 시도가 성공적으로 끝나자 온 유럽이 하이힐을 스타일 아이콘으로 취급하기 시작한 것이다.
  하이힐의 의미가 서서히 변질되기 시작한 것은 바로 이때부터다. 패션의 일부로 포함된 하이힐은 신분을 나타내는 도구로서 사용되다, 점차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모양이 바뀌고 여성미, 섹시미를 남성에게 표출하는 수단이 된다. 이 변화의 종착역이 당시 패션에 민감하기로 둘째가라면 서러울 매춘부들이 하이힐 유행의 선두주자가 된 것이다. 자신의 몸을 상품으로서 내건 매춘부들에 의해 현재 하이힐의 모양이 정착되다시피 하고, 남성이 중심이 되던 사회에서 그녀들에게 밀릴 수 없었던 상류사회의 여인들이 그 유행을 좇았다. 원래의 용도에서 완전히 벗어난 하이힐은 남성에게 자신의 성적인 가치를 어필하는 보조수단으로 정착된 것이다.
  수많은 입소문을 남긴 사드 후작의 입을 빌리면 ‘에로티시즘의 등가체 이자 고전적인 페티시즘, 팜므파탈의 상징’이 바로 하이힐이다. 이런 시선을 내포한 하이힐이 키가 커 보이고 다리라인을 예뻐 보이게하며, 배와 엉덩이 부분의 살집을 일시적으로나마 감춰주는 ‘효능’을 지녔다고 해서 현대에 와서까지 여성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아 마땅한가? 프랑스의 68혁명 당시 들불처럼 일어난 페미니즘 운동에서 가장 먼저 벗어던져진 것이 바로 하이힐이란 것에서부터 우리는 의문을 가져야 한다. ‘신발을 신고 걷는다’는 가장 기본적인 행위에서조차 발목골절을 감안해야 하는 ‘족쇄’를, 우리는 페미니즘 적 기치가 곳곳에서 휘날리는 현재까지도 패션의 이름으로 정당화 시키고 있지는 않는가. 익숙해진 나머지 아무렇지 않게 옆에 있는 물건이라도 새로운 시선으로 조망하는 것이 필요할 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양로144길 33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402호 덕성여대신문사
  • 대표전화 : 02-901-8551, 8552, 8558
  • 청소년보호책임자 : 고유미
  • 법인명 : 덕성여자대학교
  • 제호 : 덕성여대신문
  • 발행인 : 김건희
  • 주간 : 조연성
  • 편집인 : 고유미
  • 메일 : press@duksung.ac.kr
  • 덕성여대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덕성여대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ress@duksung.ac.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