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페서 국회의원, 무엇이 문제인가?

대학가 이슈보도

2008-05-19     한미래 객원기자

이번 18대총선에서 경기 남양주(을)의 한나라당 후보 김연수 서울대 교수가 육아휴직을 내고 총선에 출마한 사실이 밝혀져 서울대는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빈축을 샀다.

총선에는 총46명(명예?객원 교수 포함)의 ‘폴리페서’가 출마했고, 교수를 직업으로 밝힌 공천 신청자는 100명을 넘었다. 또한 지난 대선 때 특정 후보 캠프에서 활동한 교수는 천명이 넘었다고 한다. 해를 거듭할수록 교수들의 정치참여가 높아지는 현황이다. 

교수들의 정계진출이 나쁜 것만은 아니다. 자신의 전문성을 국가정책으로 현실화 시킨다면 국가에 이익이 될 뿐 아니라 국민들에게 정책에 대한 설득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계활동 경험이 있는 교수들이 대학구성원의 다양성 높일 수 있다는 측면도 있다.

하지만 폴리페서들의 ‘양다리’는 적지 않은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폴리페서들은 선거운동기간은 물론 당선 뒤에도 교수신분을 유지하거나 낙천, 낙선이 되면 다시 학교로 돌아오는 등 자기편의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계활동으로 인한 잦은 휴강과 갑작스러운 교수교체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권도 심각하게 침해당하고 있다. 게다가 학생들을 선거운동에 동원하거나 정치적으로 선동하는 경우도 있어 폴리페서에 대한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우지현(사회학 3) 학우는 “교수들의 정계활동은 개인의 자유이지만 학생들에게 피해를 끼쳐서는 안된다”고 전했다. 김은정(사회학) 교수는 “교수의 본분은 학생을 가르치고 학문을 연구하는 것이다. 폴리페서들이 정치가와 교수, 양자를 다 취하려고 하는 것은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설명했다.

국민은 정치에 참여할 권리가 있다. 한 나라의 국민으로서 교수들도 마땅히 그 권리를 누릴 수 있다. 하지만 ‘교수’라는 신분을 정계진출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는 일부 교수들의 행태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또한 교수들의 역할 방임으로 인한 피해를 학생들이 고스란히 받고 있다는 점은 폴리페서 스스로가 반성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