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의 개념사
‘인디’의 개념사
  • 김작가 대중음악평론가
  • 승인 2010.04.10 14: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양극화의 시대다. 음악계도 예외는 아니다. 산업적인 측면에서나 문화적인 측면에서나 아이돌의 비중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브라운관에서 아이돌을 제외한 다른 가수를 만나기란 점차 힘들어지고 있다. 아이돌의 특성은 ‘기획’에 있다. 자본, 즉 기획사가 주체가 되어 연습생을 선발하고 그들을 훈련시켜 그룹을 만든다. 외부 작곡가와 안무가 등이 붙어 그들을 완성시킨다. ‘음악창작자’라는 개념이 지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존재하지 않는 시스템이다. 인디 음악을 얘기하면서 뜬금없이 아이돌로 글을 시작한 이유는 바로 그 반대편에 인디가 있기 때문이다.
 인디에 대한 여러 가지 정의가 있을 수 있다. 가장 원론적으로는 ‘독립 유통 음반’을 의미한다. 미국, 영국 등 유니버설, 소니BMG, 워너, EMI 같은 메이저 레이블이 모든 음악 유통을 장악하는 국가에서 이런 메이저 레이블에 종속되지 않고 독자적인 제작, 유통 시스템을 갖춘 레이블을 인디 레이블이라 불렀다. 그리고 여기 소속에서 활동하는 뮤지션들을 인디 뮤지션이라 칭했다. 이것이 ‘인디’의 시작이었다. 그들에게는 판매와 활동의 열악함대신 ‘음악 창작의 자유’가 주어졌다. 그 때문에 메인스트림에서는 할 수 없는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었다.

 대중음악 미학의 발전사는 일정 부분 인디 레이블과 인디 뮤지션의 몫이었다. 그 개념이 90년대 중반, 한국에 이식됐다. 홍대앞을 중심으로 헤비 메탈이 아닌 펑크와 얼터너티브 등을 연주하는 밴드들이 등장하고, 그들이 공연하는 클럽이 각광받기 시작하면서였다. 하지만 한국에 메이저는 없었다. 음반 산업은 주먹구구식이었고 영세 기획사들이 난립하는 형국이었다. 삼성, LG 등의 대기업이 뛰어들긴 했지만 복마전 같은 음반 시장에서 그들의 영향력은 지극히 미미했다. 인디가 메이저의 반대 지점에서 출발했음을 상기한다면, 애당초 본래의 의미를 유지한 채 이식되기는 힘든 개념이었다.
 과거 인디 담론을 주도했던 측은 과거의 운동권, 내지는 진보 진영이었다. 그들은 인디에 정치적 함의를 부여했다. ‘문화 게릴라’라는 프레임이 설정됐다. 언론에겐 스토리가 필요했다. 그들의 음악보다는 가난한 현실에 포커스가 맞춰졌다. 그래서 한국의 초기 인디에는 ‘지하실에서 라면을 먹지만 우리 자신의 음악이 있기에 행복하다’는 스토리가 입혀졌다. ‘획일화된 대중음악에 저항하는 진짜 음악’이라는 포장지도 씌여졌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었다. 하지만 그게 전부도 아니었다. 그런 인식이 조금씩 바뀐 건 그 안에서 스타가 등장하면서다. 크라잉 넛, 노 브레인, 언니네 이발관, 델리 스파이스 같은 밴드들은 지상파에도 진출했고 많은 음반 판매량도 올렸다. 인디 음악의 개념을 대처한 건 실력파 뮤지션이었다.

 2000년대 이후 메이저 가수들의 자질논란이 극심해지면서 부터 신인 가수가 데뷔하고, 그들이 실력이 있음을 증명하는 수사로 ‘홍대 인디 밴드 출신’이라는 문구가 보도자료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체리 필터처럼 사실인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사실이 아니었다. 씨엔블루의 캐치 프레이즈가 인디 밴드인 것과 마찬가지다. 당시는 홍대 음악=인디 음악, 즉 로컬 음악을 의미하던 시절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장르가 다양해지고 밴드의 색깔은 더욱 다양해졌다. 일원화된 묶음이 불가능해 진 것이다. 때문에 ‘홍대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TV출연보다는 라이브에 역점을 두는 음악’이라는 포괄적 합의가 부지불식간에 이뤄졌다. 이것이 주류 기획자들이 ‘인디’를 홍보의 수단으로 삼았던 이유이기도 하다. 
 상황이 바뀐 건 2008년 이후다. 데뷔 앨범을 내기도 전에 이미 스타가 된 장기하의 스타덤은 다시 인디란 무엇인가를 고민하게 했다. 마니아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 심지어 최근 음악에 관심도 없던 386세대가 그들에게 열광했다. 지상파 음악 프로그램 외에도 시사 프로그램에서까지 다뤄질 정도였다. 장기하를 제외하고라도 요조, 국카스텐, 검정치마, 브로콜리 너마저 등 새로운 세대의 뮤지션들이 더불어 나름의 지분을 확보했다. 사람들은 다시 인디 음악을 얘기하기 시작했다. 그건 문화게릴라도, 실력파도, 라이브 중심도 아니었다. ‘그냥 인디 음악’이었다.
 개념은 사라졌다. 아이돌의 대척점으로서 인디 음악이 거기에 있었다. 여기서 다시 질문해보자. 지금, 인디는 무엇인가. 인디에는 창작이 있다. 2000년대 이후 에픽하이 정도를 제외하고는 직접 자신의 음악을 만드는 뮤지션이 씨가 말랐다. 사실 그게 진정한 뮤지션의 정의의기도 하다. 음악을 만들어서 연주하고 부르는 이들. TV에서는 갈수록 보기 힘든 뮤지션을 통칭해서 한국 사회는 인디라고 부르고 있다. 하지만 이는 인디 뮤지션이란 결국 한국 대중음악산업의 어이없는 현실을 보여주는 거울이 되었다. 엔터테인먼트로서의 음악만 있고 창작으로서의 음악은 도외시하는 기형적인 모습을 비추는 거울  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양로144길 33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402호 덕성여대신문사
  • 대표전화 : 02-901-8551, 8558
  • 청소년보호책임자 : 고유미
  • 법인명 : 덕성여자대학교
  • 제호 : 덕성여대신문
  • 발행인 : 김건희
  • 주간 : 조연성
  • 편집인 : 고유미
  • 메일 : press@duksung.ac.kr
  • 덕성여대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덕성여대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ress@duksung.ac.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