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행성 충돌, 영화로 본 허와 실
소행성 충돌, 영화로 본 허와 실
  •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 승인 2014.12.08 18: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늘의 영화 <아마겟돈(Armageddon, 1998)> 
  영화 <아마겟돈>은 미국 텍사스주 크기 만한 소행성이 지구를 향해 달려오고 있는 위기 상황 속에서 시작된다. 만약 이 소행성을 막지 못하면 행성과 지구는 충돌하여 지구 상에는 살아있는 생물체가 단 하나도 없게 된다. 그래서 사람들은 해결책을 내놓게 되는데 바로 핵을 이용하는 것이다. 핵폭탄을 싣고 소행성으로 가 굴착기로 깊은 곳을 파낸 다음 핵탄두를 묻어두는 것이다. 그리고 폭파하면 소행성은 두 개로 쪼개지고 지구 양쪽으로 빗겨가 지구는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영화 속에 나온 해결책은 현실에서 가능한 것일까? 질문과 답변을 통해 알아봤다.


 

 

 

  ‘과학의 눈’으로 본 공상과학(SF)는 늘 허점투성이다. 작가와 감독은 드라마를 위한 극적인 장치에 더 공을 들이기 때문이다. SF에서 옥에 티를 찾는 일은 그래서 묘미가 있다. 이제는 클래식이 된 SF 재난영화 <아마겟돈>에 한걸음 더 들어가 보자.

Q. 그렇게 큰 소행성도 있을 수 있는가
A. 문제의 천체는 텍사스주(대각선거리 1400km) 만하다. 지금까지 알려진 소행성 중에 제일 몸집이 큰 세레스(Ceres)의 적도지름은 970km. 그런데 2006년 국제천문연맹은 소행성으로 알려진 세레스와 마지막 행성인 명왕성을 왜소행성(dwarf planet)으로 재분류했다. 영화에 나오는 이 천체는 명왕성보다는 작고 마케마케(Makemake)와 크기가 비슷한 왜소행성이다. 왜소행성은 태양을 공전하며 중력이 그 형태를 결정짓지만 주변 천체들에 대해 행성들만큼은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답 : 없다

Q. 소행성이 내뿜는 기체의 정체는 무엇인가
A. 최근에는 꼬리달린 소행성이 발견되는가 하면 궤도는 혜성이 분명한데 표면에선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박쥐’ 같은 소행성도 있다. 영화에서 시도 때도 없이 제트를 뿜어대는 이 천체의 무늬는 혜성이 맞지만 철산염(ferrite)이 주성분이라는 영화 속 설정과는 정면 배치된다. 혜성은 금속이 아닌 먼지와 얼음, 휘발성 기체가 주를 이룬다. 답 : 혜성의 특성을 띤 왜소행성    

Q. 영화에서처럼 충돌 18일 전에 눈으로 소행성을 확인할 수 있는가
A. 이 천체는 18일 동안 평균시속 2만 2천마일(10km/s)의 속도로 지구에 접근한다. 그렇다면 발견 시점에는 지구-달거리의 40배, 즉 세레스보다 30배나 가까운 지점을 통과했어야 맞다. 밝기는 거리제곱에 반비례하니까 당시 이 천체 세레스의 900배, 곧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 시리우스보다도 밝고 누구든 맨눈으로 볼 수 있어야 했다. 따라서 충돌 2~3주 전에야 발견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답 : 더 일찍 발견됐어야 한다.  

Q. 영화 속 소행성과 충돌 시 위력은 어느 정도인가
A. 중생대 백악기 말인 6500만 년 전 공룡들을 절멸시킨 소행성은 10km급. 이 소행성이 초속 10km의 속도로 지구와 충돌할 때 7천만 메가톤(Mt)이 방출된다. 핵탄두 1기당 50메가톤이라고 가정하면 이 에너지를 얻기 위해 탄두 1백 4십만 개가 필요하다. 철 밀도에 해당하는 7kg/m3를 적용하면 영화 속의 천체는 백악기에 떨어진 것보다 9백 5십만 배 무겁고, 쪼개지지 않은 채 지구와 충돌할 경우, 50메가톤급 핵폭탄 13조 4천억 개의 위력과 맞먹는다. 답 : 그렇지 않다.

Q. 작은 조각이 유성처럼 떨어질 수 있는가
A. 가능성은 낮지만 천체가 혜성과 충돌한다면 그럴 수도 있다. 게다가 영화에서처럼 천체가 폭발하면서 접근한다면 가끔 몇 개씩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소나기처럼 세게 퍼부어야 하고 처음에는 작은 파편이, 뒤이어 커다란 조각들이 쏟아져야 맞다. 폭탄이 터질 때처럼. 그러나 작은 파편들은 땅에 닿기 전에 녹거나 타서 없어진다.  답 : 그럴 수 있다.

Q. 실제 소행성의 표면에도 날카롭게 튀어나온  것들이 있는가
A. 행성과 왜소행성이 만들어질 때 내부 열원에 의해 안쪽이 녹아 무거운 금속은 중심에 가라앉고 가벼운 암석은 지각을 이뤄 전체적으로는 구나 타원체가 된다. <아마겟돈>의 소행성은 1천km가 넘는 왜소행성이라 영화에서처럼 울퉁불퉁하지 않은 구나 타원체여야 맞다. 지질학자들에 따르면 영화에 나오는 긴 막대 모양의 결정체는 진공에서, 게다가 철이 주성분인 곳에서는 만들어질 수 없다. 답 : 맞지 않다.

Q. 천체를 둘로 쪼개는 것이 가능한 일인가
A. 영화에서는 지구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문제의 천체를 800피트(240m)만큼 파 내려가 폭탄을 매설한다. 240m는 1천 4백km의 1/5800, 농구공에 비하면 머리카락 두께에 불과하다. 여기엔 성공을 위한 전제조건이 있다. 이 천체 내부에 거대한 틈이 있다면, 그리고 그 틈이 중심을 관통한다면 반으로 쪼갤 수 있다. 답 : 불가능하다.

천체를 두 개로 쪼개기 위해서는 천체 내부에 거대한 틈이 있어야 하며 그 틈이 천체의 중심을 관통해야 한다.     출처/더 팩트

 

Q. 천체를 폭발시켜 충돌을 피하는 것이 가능한가
A. 천체에 거대한 틈이 있고 그 틈이 중심을 관통한다고 치자. 미션을 성공시킬 수 있을까? 지구반지름은 6천 4백km. 충돌을 막으려면 천체를 둘로 쪼개 운동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시속 1천 6백km의 속도만큼 밀어내면 된다. 이것은 제트여객기의 두 배에 해당하며 그 몸집을 고려할 때 실현 가능성 없는 대안임을 알 수 있다. 명왕성보다 큰 놈을 둘로 쪼개 보잉 747의 두 배 속도로 움직인다? 핵탄두 몇 개로는 어림없다. 답 : 피할 수 없다.

Q. 소행성의 표면 위를 제대로 걸을 수 있는가
A. 이 천체의 평균 밀도가 물의 7배(7kg/m3)면 거기서 우리가 느끼는 중력은 지구의 0.38배, 화성과 같다. 지구에서 60kg인 사람은 달에서 10kg, 이 천체에서는 23kg이 나간다. 0.38G(중력)를 가정할 경우 부르스 윌리스의 걸음걸이는 특별히 부자연스럽게 느껴지지 않는다. 답 : 그럴 수 있다.

에필로그
11월, 나사는 1994년부터 지난 20년간 지구에 떨어지거나 상층 대기에서 폭발한 소행성과 혜성의 충돌 기록을 공개했다. TNT 폭탄 5톤에서 1메가톤에 이르는 폭발이 556차례, 2주에 한 번 꼴로 일어났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어 12월 첫 주에는 2014 WU200, 2014 WX202라는 이름의 근지구소행성 2개가 지구를 스쳐 지나갔다. 걱정거리는 첼랴빈스크 운석에 해당하는 10~20m급 천체가 2천만 개로 추산되는데 발견된 것은 5백여 개에 불과하다는 것.

12월초, 영국 왕립천문학자인 마틴 리즈경,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즈, 아폴로 13호 선장 짐 러벨과 천체물리학자이면서 그룹 퀸의 기타리스트인 브라이언 메이 등은 2015년 6월 30일을 ‘소행성의 날’로 선포했다 그리고 ‘충돌’이 향후 수세기 안에 마주하게 될 인류의 가장 큰 위협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그들은 근지구소행성 발견과 특성 연구를 현재 수준의 100배로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핵탄두 몇 개로 충돌을 막을 수는 없다. 코앞에 닥친 멸종을 모면하려면 순간적으로 방대한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를 기술적으로 구현하는 건 또 다른 문제다. 대안으로 오래, 적은 힘을 가해 궤도를 바꾸는 기술들이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테러’를 막기 위해서는 ‘블랙리스트’를 확보하는 일이 우선돼야 한다. 영화에서처럼 극단적인 선택에 운명을 걸지 않으려면 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양로144길 33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402호 덕성여대신문사
  • 대표전화 : 02-901-8551, 8552, 8558
  • 청소년보호책임자 : 고유미
  • 법인명 : 덕성여자대학교
  • 제호 : 덕성여대신문
  • 발행인 : 김건희
  • 주간 : 조연성
  • 편집인 : 고유미
  • 메일 : press@duksung.ac.kr
  • 덕성여대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덕성여대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ress@duksung.ac.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