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전통이 낳은 선물, 한복
우리의 전통이 낳은 선물, 한복
  • 정혜원 기자
  • 승인 2015.10.06 15: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통성 보존과 더불어 현대인의 마음을 사로잡는 한복 문화 구축해야

 얼마 전 민족 대명절 추석이 지났다. 그런데 추석의 모습이 과거와는 많이 달라졌다. 귀성길에 오른 사람들의 옷차림만 봐도 알 수 있는데 명절이라고 한복을 맞춰 입던 아이들을 보기 어렵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의상 한복, 그 한복을 잊어버린 우리사회와 한복의 부활을 위한 노력들에 대해 알아봤다.


  빠르게 지나가는 유행,
  쉽게 잊히는 한복
  ‘모나미룩’에 대해 들어본 적 있는가? 모나미룩은 흰 와이셔츠와 검정 슬랙스를 입은 모습이 모나미 볼펜과 닮았다고 해 생겨난 신조어이다. 이런 신조어는 사람들에게 웃음을 줌과 동시에 유행이라면 너도나도 따라하는 우리사회의 단면을 보여주기도 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최신 유행에민감한 만큼 쉽게 옛 것을 잊어버린다. 그 대표적인예가 바로 한복이다. 이제는 한복을 소유하고있는 사람은커녕 한복을 한 번도 입어본 적이 없는 사람도 많다.

  한복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줄어들면서 한복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 역시 줄어들고 있다. 동대문 종합시장에서 한복가게를 운영하는 유기석씨는 “요즘 한복은 행사가 있을 때만 주로 입기 때문에 과거에 비해 한복을 찾는 사람들이 많이 줄었다”며 “예전과 비교했을 때 매출의 40-50% 정도가 줄었고 한복이 잘 팔리던 명절 때마저 한복을 찾는 사람들이 별로 없다”고 밝혔다.

  한복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게 된 데에는 한복이지닌 불편함이 주원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10월 한복진흥센터가 우리나라 10-60대 남녀 5천 명을 대상으로 한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그중 32.6%(1,629명)가 한복의 관리가 어려워 입기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까다로운 착용 방법, 활동에 지장을 주는 저고리 등도 한복을 기피하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우리대학 김유나(회계 4) 학우는 “한복은 평상시 활동할 때 불편하고 가격도 비싸기 때문에 입기 부담스럽다”고 밝혔다.

올해 초 한 미국 잡지에서는 한복을 '한국의 기모노'라고 소개해 누리꾼들의 원성을 샀다. 이는 한복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사진/YTN NEWS 캡쳐


  세계로 나아가는
  이웃나라의 전통의상들
  한복에 대한 관심이 날로 감소하는 우리나라와달리 전통의상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고 전통을 지키려는 나라들이 있다. 중국의 치파오의 경우 현대화·고급화 전략을 통해 명품 반열에 오르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치파오 의상에 뿌리를 둔 패션브랜드 ‘상하이탕’의 옷은 한 벌에 1백-2백 만 원으로 비싸지만 중화권을 넘어 미국, 영국, 쿠웨이트에서까지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

  일본의 기모노는 우리의 한복처럼 근대화 이후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 잊힐 뻔했지만 일본 정부의 체계적인 진흥책 덕분에 지금의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일본 정부는 기모노 제조 기술 보유자들을 인간문화재로 지정하고 연간 2백만 엔의 특별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그 외에도 기모노 전문가를 양성하는 공인시험을 실시하고 있으며 기모노 산업이 특히 발달한 교토에서는 매년 약 18만부의 ‘교토 기모노 여권’을 배포해 기모노를 입은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베트남의 아오자이 역시 백 년이 채 안 되는 역사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원래 아오자이는 1930-1940년대까지만 해도 상류층이 입는 옷이었지만 학교·관공서·호텔 등의 유니폼으로 채택되면서 내수시장이 탄탄하게 형성됐다. 또한 베트남의 주요 도시에는 관광객들을 위해 많은 아오자이 맞춤 매장이 자리하고 있다.

  한복문화에
  불어온 새바람
  사회 전체적으로 한복에 대한 관심은 줄어들고 있지만 최근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한복이 새로운 패션 아이콘으로 부상하는 모습도 보인다. 블로그나 SNS 등에는 한복을 입은 모습을 사진으로 남기는 이른바 ‘한복 인증샷’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한복이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개성을 뽐낼 수 있는 수단이 된 것이다.

  한복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끼리 모임을 만들기도 한다. ‘한복놀이단’은 약 4천 명의 가입자를 둔 단체로 주기적으로 SNS에 모임 공지를 띄워 공지를 읽은 누구나 한복을 입고 만날 수 있는 행사를 진행 중이다. 우리대학에는 한복 파티를 주최하거나 한복을 입고 고궁으로 나들이를 가는 등 한복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는 한복 동아리 ‘꽃신을 신고’가 있다.

최근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한복을 입고 여행을 가거나 사진을 찍는 것은 하나의 유행으로 자리잡고 있다. 제공/JTBC 뉴스룸 캡쳐


  기존 전통한복의 불편함을 보완한 일명 ‘생활한복’ 역시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뜨거운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지나치게 변형된 생활한복이 전통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낸다. 이에 대해 한국의상협회 강태경 회장(이하 강회장)은 “시대별로 한복 스타일이 모두 다른 것처럼 한복의 디자인이 변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며 “생활한복이 전통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한복문화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다면 긍정적으로 바라봐도 괜찮을 것이다”고 말했다.

  앞으로 한복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한복이 유행처럼 번지고있지만 아직까지 한복에 대한 인식이나 전통성을 지키려는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강 회장은 “젊은 세대들이 한복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은 매우 기쁜 일이다”며 “그러나 한복은 연령, 용도, 계절에 따라 입는 방식이 다른데 젊은 세대들은 속치마를 입지 않거나 상황에 맞지 않는 한복을 입는 등자신들의 취향에 따라서만 한복을 입고 있어 안타까울 따름이다”고 말했다.

  한복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만한 아름다움을지녔기에 자긍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강 회장은 “치파오나 기모노, 서양 옷은 몸매를 강조하기 위해 여성의 몸을 조이거나 구속한다”며 “반면에 한복은 ‘바람의 옷’이라고 하여 몸매의 단점을 보완해주면서도 편하게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렇듯 고급스러우면서도 아름다운 한복이 오늘날엔 대량생산으로 제작되면서 한복 고유의 개성과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강 회장은 “전통을 지키면서 한복을 발전시켜야 하는 게 한복 생산자의 역할인데 현재는 중국에서 대량생산을 해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값만 싸고 질 낮은 한복이 만연한 상황이다”며 “앞으로 우리는 한복을 좋은 원단으로 제작하면서 한복 고유의 색깔인 오방색을 사용해 전통을 유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일제 강점기에 우리는 언어, 문화와 더불어 전통의상인 한복까지 잃을 뻔했다. 우리의 정체성이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었던 것이다. 이제는 조상들이 힘겹게 지켜낸 우리의 전통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우리의 역사와 함께 지켜온 한복을 기억하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양로144길 33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402호 덕성여대신문사
  • 대표전화 : 02-901-8551, 8552, 8558
  • 청소년보호책임자 : 고유미
  • 법인명 : 덕성여자대학교
  • 제호 : 덕성여대신문
  • 발행인 : 김건희
  • 주간 : 조연성
  • 편집인 : 고유미
  • 메일 : press@duksung.ac.kr
  • 덕성여대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덕성여대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ress@duksung.ac.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