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 대한 집착, 새롭게 태어난 현재
과거에 대한 집착, 새롭게 태어난 현재
  • 강병진 <씨네 21> 기자
  • 승인 2009.07.06 14: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두 남녀가 소리를 채집한다. 바람을 머금은 갈대밭 소리, 고즈넉한 산사에 눈 내리는 소리, 어느 산골마을에 오래전부터 내려오던 노동요 가락 등 도시에서는 들을 수 없거나, 과거의 기억이 되어버린 소리를 모으는 것이다. 그리고 이 소리는 라디오 방송을 통해 현재의 도시 속으로 전파된다. 즉, 잊혀진 것들을 현재에 복원시키는 게 그들이 할일이다. 허진호 감독의 <봄날은 간다>는 이들의 사랑이야기다. 상우와 은수, 그 중에서도 녹음엔지니어인 상우는 은수의 노랫소리까지도 녹음했다. 지금은 내 옆에서 사라진 여자의 목소리, 상우에게 그 과거의 소리는 무엇을 복원해낼까.
      ▲ 허진호 감독                            <출처=씨네21>

 허진호는 녹음기가 아닌 영화를 통해 상우와 비슷한 일을 하는 감독이다. 그의 영화는 과거의 기억이 어떻게 현재로 환원되는가를 지켜본다. <8월의 크리스마스>를 예외로 친다면, <봄날은 간다>와 <외출>, <행복>은 모두 “사랑은 어떻게 변하니?”란 질문의 여러 판본들이다. 질문을 하는 쪽은 변하지 않은 사랑, 다시 말해 과거의 사랑에 집착한다. <봄날은 간다>의 상우는 은수에게 함께 김치라면을 끓여먹으며 행복했던 과거를 복원시키려 한다. <외출>의 두 남녀는 각각의 남편과 아내가 불륜관계였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들에 대한 복수심, 혹은 행복했던 과거를 보상받으려 서로 사랑한다. <행복>의 은희는 이들보다 집착의 정도가 더 심한편이다. “뽀뽀를 하면서도 뽀뽀가 하고 싶다”고 할 정도로 사랑했던 남자를 붙잡고자, 그녀는 무릎을 꿇고 빌면서 운다. 앞서 예외로 쳤지만, 사실 <8월의 크리스마스>의 정원이 이들보다 더 안타깝다. 그에게 사랑은 이제 막 찾아왔다. 그리고 사랑한다는 말도 못한 채 추억이 되어버렸다.  
 과거에 대한 허진호 감독의 집착은 단지 중심인물들의 사랑관에만 드러나는 게 아니다. 과거에 대한 향수라 부르는 게 적절한 요소들은 영화 곳곳에 나타난다. <8월의 크리스마스>의 정원은 상우처럼 과거를 간직하는 사진사였다. 그는 가끔씩 동네를 찾아오는 옛 연인을 잊지 못하는 남자다. <봄날은 간다>의 상우 할머니 역시 사랑했던 남편의 젊었던 모습만을 기억하는 치매환자다. 또한 허진호의 남자들은 자신의 마음을 외치고 싶을 때마다 흘러간 옛 노래를 부른다. 비가 내리던 어느 저녁, 사진관에서 다림을 기다리던 정원이 흥얼거린 노래는 동물원의 <거리에서>였다. 상우 역시 창밖의 비를 보며 남진의 <미워도 다시한번>을 부른다. 그런가 하면 은희와 첫날밤을 보낸 <행복>의 영수는 사랑의 세레나데로 해바라기의 <짝사랑>을 노래한다.
 과거를 되살리는 허진호의 영화들을 볼 때, 그의 단편 <고철을 위하여>는 제목부터 그럴싸해 보인다. 주인공은 어린시절부터 남이 쓰던 것을 입고 타야했던 중고인생의 남자 고중철이다. 중철은 성인이 되어서도 중고차매매로 밥벌이를 하고 있다. 그의 꿈은 애인인 윤자와 결혼해 새 가구를 들인 새 집에서 사는 것이다. 그가 ‘순결한 여자라고 믿고 있는’ 애인 윤자는 처음으로 가져본 ‘새 것’이다. 얼마 후 중철은 윤자가 이미 다른 남자와 동거하다 임신까지 했던 과거를 알게 된다. “남이 데리고 산 여자와 같이 산다는 것이 너무 억울한” 중철은 윤자와의 이별을 결심한다. 하지만 차마 연인을 버릴 수 없었던 중철은 “우리 어머니 말씀이 쓰던 것도 잘만 고쳐 쓰면 새것보다 낫다고 하셨다”고 합리화시키며 윤자와 결혼한다. 이야기에서 비약이 있지만, 영화감독지망생 시절의 허진호가 <고철을 위하여>를 통해 제시했던 주제는 이후 그의 장편영화들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그가 그려낸 사랑이야기는 이미 있던 이야기를 새것 보다 낫게 만든 것들이다. <8월의 크리스마스>는 시한부 환자의 사랑이야기이고, <외출>은 통속적인 불륜극이며 <행복>은 과거 70년대 호스테스 영화의 구조를 따르는 작품이다. 사랑하고 헤어지기를 반복하는 <봄날은 간다>는 말할 것도 없다. 그런데 지금보기에 과거의 정서로 가득한 이 영화들에게 21세기의 우리는 왜 공명하는 것일까. 허진호의 영화적 세공술이 옛것도 새것처럼 만들었기 때문일까. 오히려 사랑에 관한 느낌과 행동은 지금도 변한 것이 없기 때문이라는 해설이 정답일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남자와 여자는 그렇게 만나고 그렇게 헤어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양로144길 33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402호 덕성여대신문사
  • 대표전화 : 02-901-8551, 8552, 8558
  • 청소년보호책임자 : 고유미
  • 법인명 : 덕성여자대학교
  • 제호 : 덕성여대신문
  • 발행인 : 김건희
  • 주간 : 조연성
  • 편집인 : 고유미
  • 메일 : press@duksung.ac.kr
  • 덕성여대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덕성여대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ress@duksung.ac.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