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사태에 가장 실망하고 분노한 것은 국민들, 특히 통합진보당을 지지하던 유권자들이었다. 부정선거란 국민들의 눈을 가리고 속이는 행위다. 당연히 그들을 지지했던 유권자들에게는 배신감을 안겨주는 일이었다. 그러나 이번 사태에서 가장 실망스러웠던 것은 부정선거를 넘어서 그것을 받아들이는 당권파의 태도였다. 부정선거 사실이 밝혀진 후 그들은 명확한 진상규명과 겸허한 반성 그리고 앞으로의 책임있는 태도를 약속해야 했다. 당권파가 말했던 것처럼 소수정당이기에 투표율 제고가 관행적으로 이뤄졌다는 것은 답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 관행을 이번 계기를 통해 없애고 극복해야 했으며 지금과 같은 당의 분리가 아니라 통합의 방향으로 더 나은 진보정당의 길을 탐색해야 했다. 변명에 다름없는 태도 외에도 뒤를 이은 폭력사태, 부정선거가 밝혀졌음에도 비례대표 사퇴를 하지 않겠다며 버티는 여러 당사자들의 태도는 국민들에게 적잖은 실망과 분노를 안겨줬다.
곧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당권파와 비당권파의 충돌이 거세지며 “통합진보당의 분열은 시간문제”라고 예측하는 이들이 많아졌다. 반면 “지금이라도 부정선거를 반성하고 진정한 진보의 의미를 되새기며 새로운 출발의 기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이번 사태는 당권파의 선거 부정을 적나라하게 보여줌과 동시에 우리나라 정권에 만연해 있던, 심지어 관행적이란 말로 표현되던 부정선거의 현실을 폭로했다. 통합진보당은 이번 일과 관련해 국민에게의 사과와 반성 그리고 개선된 모습을 약속해야 한다. 또한 이번에 밝혀진 정치권의 부실한 비례대표후보 선거 관리 역시 반드시 집고 넘어가야할 문제일 것이다.
저작권자 © 덕성여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